한글 조합 툴 (옛 한글 입력기)

ᄀ → 가
검색 * 풀어쓰시거나 글자를 만들면 검색됩니다. (영타 qwerty 지원)
옛 한글 *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글자를 대부분 제외합니다.

도움말

사용법

  1. 초성, 중성, 종성을 선택하면 미리보기에 글자가 나타납니다.

     

  2. 검색

    ㄱㄴㄷ, 기역 니은 디귿, ㅏ, 아, rse(ㄱㄴㄷ의 영어 qwerty 자판) 등으로 검색가능합니다.

    일부 경우에 올바른 검색어에도 검색이 안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아래 문의/제보 링크로 제보해주세요.

     

  3. 옛 한글

    옛 한글용 글자를 모두 보이거나 숨깁니다.

    현재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글자를 숨겨서 빠르게 글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4. 재생 버튼

    한글 조합과정을 재생합니다.

    옛 자음이어도 현재와 비슷하고 모양의 규칙 단순하기에 더 세분화하여 보여주지 않지만

    모음은 조금 더 복잡하고 순서가 있기 때문에 나눠서 순서대로 보여줍니다.

     

  5. 복사 버튼

    만든 한글을 복사합니다.

    애플 기기의 경우 이 사이트 외부에서(기기 내장 글꼴) 사용시 일부글자가 안보일 수 있습니다.

    가능할 경우 조합형(NFD)이 아닌 완성형(NFC)으로 복사합니다. 조합형 복사를 원하시면 버튼말고 미리보기 선택(드래그)후 직접 복사하세요.

     

 

주의사항

이 사이트에는 '나눔 바른 고딕 옛한글' 글꼴으로 글자를 표기하고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옛 한글은 윈도우 PC와 안드로이드에서 기본 폰트로도 정상적으로 보입니다만..

애플(IOS) 기기에서는 일부 글자가 이 사이트 바깥에서는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옛 한글은 안쓰는 글자가 너무 많아 디자인 하기 번거롭고 쓰지 않는 글자를 위해 불필요한 디자인 비용이 많이 들어 한글 폰트중 지원되는 폰트가 거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조합형 한글 폰트는 그나마 네이버의 '나눔 바른 고딕 옛한글', '나눔 명조 옛한글'와 한글과컴퓨터의 '함초롬바탕체', '함초롱돋움' 정도가 지원합니다.

 

TMI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음과 모음은 컴퓨터 시스템상에 있는 한글 자음 모음으로 이런 방식을 '조합형 한글'이라고 부릅니다.

조합형 한글을 사용하면 한번도 본적없는 특이한 조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특이한 조합을 표기하기위한 모양을 그려야하는 점

한 글자를 위해 무조건 2 ~ 3글자(자+모 or 자+모+자)를 이어 쓰는 방식으로 완성형 한글에비해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용량이 2 ~ 3배 늘어나는점도 있습니다.

오류제보 / 기능제안   글 작성하러가기